DON'T MISS
- 모든
- 2020년
- 2020년 10월호(통권10호)
- 2020년 11월호(통권11호)
- 2020년 12월호(통권12호)
- 2020년 1월호(창간호)
- 2020년 2월호(통권2호)
- 2020년 3월호(통권3호)
- 2020년 4월호(통권4호)
- 2020년 5월호(통권5호)
- 2020년 6월호(통권6호)
- 2020년 7월호(통권7호)
- 2020년 8월호(통권8호)
- 2020년 9월호(통권9호)
- 2021년
- 2021년 10월호(통권22호)
- 2021년 11월호(통권23호)
- 2021년 12월호(통권24호)
- 2021년 1월호(통권13호)
- 2021년 2월호(통권14호)
- 2021년 3월호(통권15호)
- 2021년 4월호(통권16호)
- 2021년 5월호(통권17호)
- 2021년 6월호(통권18호)
- 2021년 7월호(통권19호)
- 2021년 8월호(통권20호)
- 2021년 9월호(통권21호)
- 2022년
- 2022년 1월호(통권25호)
- 2022년 2월호(통권26호)
- 2022년 3월호(통권27호)
- 2022년 4월호(통권28호)
- 2022년 5월호(통권29호)
- 2022년 6월호(통권30호)
- 개설서
- 교양서
- 기획연재
- 기획연재
- 기획칼럼
- 나들이칼럼
- 나의 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을 말한다
- 단행본
- 답사기
- 답사는 즐거워
- 미디어 비평
- 미디어 속의 한역연
- 새로운 시각의 시대사
- 서평
- 세상읽기
- 아카이브
- 알림
- 역사와 현실: 시론
- 연구노트
- 연구반 탐방
- 연구회 소식
- 영상으로 보는 역사
- 완결
- 웹진기사보기
- 이미지공지
- 자료집
- 자유기고
- 키워드로 읽는 역사
- 학술연구서
- 학술회의 참관기
- 한국사교실 참관기
- 함께하는역사
More
천연두(天然痘), 구중궁궐이라도 마마를 피할 수 없네
김동진(중세2분과)
6. 천연두(天然痘), 구중궁궐이라도 마마를 피할 수 없네
소와 함께 사람에게 온 또 하나의 질병이 천연두였고, 모든 사람의 삶은 천연두를 앓기 이전과 이후로 나뉘었다. 천연두는 평생...
LIFESTYLE NEWS
- 모든
- 2020년
- 2020년 10월호(통권10호)
- 2020년 11월호(통권11호)
- 2020년 12월호(통권12호)
- 2020년 1월호(창간호)
- 2020년 2월호(통권2호)
- 2020년 3월호(통권3호)
- 2020년 4월호(통권4호)
- 2020년 5월호(통권5호)
- 2020년 6월호(통권6호)
- 2020년 7월호(통권7호)
- 2020년 8월호(통권8호)
- 2020년 9월호(통권9호)
- 2021년
- 2021년 10월호(통권22호)
- 2021년 11월호(통권23호)
- 2021년 12월호(통권24호)
- 2021년 1월호(통권13호)
- 2021년 2월호(통권14호)
- 2021년 3월호(통권15호)
- 2021년 4월호(통권16호)
- 2021년 5월호(통권17호)
- 2021년 6월호(통권18호)
- 2021년 7월호(통권19호)
- 2021년 8월호(통권20호)
- 2021년 9월호(통권21호)
- 2022년
- 2022년 1월호(통권25호)
- 2022년 2월호(통권26호)
- 2022년 3월호(통권27호)
- 2022년 4월호(통권28호)
- 2022년 5월호(통권29호)
- 2022년 6월호(통권30호)
- 개설서
- 교양서
- 기획연재
- 기획연재
- 기획칼럼
- 나들이칼럼
- 나의 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을 말한다
- 단행본
- 답사기
- 답사는 즐거워
- 미디어 비평
- 미디어 속의 한역연
- 새로운 시각의 시대사
- 서평
- 세상읽기
- 아카이브
- 알림
- 역사와 현실: 시론
- 연구노트
- 연구반 탐방
- 연구회 소식
- 영상으로 보는 역사
- 완결
- 웹진기사보기
- 이미지공지
- 자료집
- 자유기고
- 키워드로 읽는 역사
- 학술연구서
- 학술회의 참관기
- 한국사교실 참관기
- 함께하는역사
More
[한국역사연구회] 의례연구반 주최 학술회의 “조선후기 국가 의례의 설행과 예학 인식”(2022. 6....
안녕하십니까.
한국역사연구회입니다.
중세2분과 의례연구반이 주최하는 제3회 학술회의 <조선후기 국가 의례의 설행과 예학 인식>이 개최됩니다.
- 일시 : 2022. 6. 24.(금) 시간 13:00~18:00
- 장소 : ZOOM
회의 ID: 885...
[박물관 전시 소개] 국립춘천박물관: 모란, 당신은 안녕安寧 하신가요?_이철호
웹진 '역사랑' 2022년 6월(통권 30호)
모란, 당신은 안녕安寧 하신가요?
- 국립춘천박물관 개관 20주년 기념 <안녕安寧, 모란> 순회특별전
이철호(국립춘천박물관)
안녕, 모란!
만개한 벚꽃으로 봄의 생명력을 느꼈다면 이제 모란을 통해 봄의 강렬한...
HOUSE DESIGN
TECH AND GADGETS
- 모든
- 2020년
- 2020년 10월호(통권10호)
- 2020년 11월호(통권11호)
- 2020년 12월호(통권12호)
- 2020년 1월호(창간호)
- 2020년 2월호(통권2호)
- 2020년 3월호(통권3호)
- 2020년 4월호(통권4호)
- 2020년 5월호(통권5호)
- 2020년 6월호(통권6호)
- 2020년 7월호(통권7호)
- 2020년 8월호(통권8호)
- 2020년 9월호(통권9호)
- 2021년
- 2021년 10월호(통권22호)
- 2021년 11월호(통권23호)
- 2021년 12월호(통권24호)
- 2021년 1월호(통권13호)
- 2021년 2월호(통권14호)
- 2021년 3월호(통권15호)
- 2021년 4월호(통권16호)
- 2021년 5월호(통권17호)
- 2021년 6월호(통권18호)
- 2021년 7월호(통권19호)
- 2021년 8월호(통권20호)
- 2021년 9월호(통권21호)
- 2022년
- 2022년 1월호(통권25호)
- 2022년 2월호(통권26호)
- 2022년 3월호(통권27호)
- 2022년 4월호(통권28호)
- 2022년 5월호(통권29호)
- 2022년 6월호(통권30호)
- 개설서
- 교양서
- 기획연재
- 기획연재
- 기획칼럼
- 나들이칼럼
- 나의 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논문을 말한다
- 나의 책을 말한다
- 단행본
- 답사기
- 답사는 즐거워
- 미디어 비평
- 미디어 속의 한역연
- 새로운 시각의 시대사
- 서평
- 세상읽기
- 아카이브
- 알림
- 역사와 현실: 시론
- 연구노트
- 연구반 탐방
- 연구회 소식
- 영상으로 보는 역사
- 완결
- 웹진기사보기
- 이미지공지
- 자료집
- 자유기고
- 키워드로 읽는 역사
- 학술연구서
- 학술회의 참관기
- 한국사교실 참관기
- 함께하는역사
More
[강화이야기] 용흥궁과 김상용 순의비
용흥궁과 김상용 순의비
홍순민(중세사 2분과)
강화읍에 들어가서 대개 처음으로 들르는 곳이 용흥궁(龍興宮)이다. 강화읍으로 들어가 서쪽으로 진행하다가 구 버스 터미널을 지나서 두 번째 오른쪽으로 갈라지는 차도가 고려궁지(高麗宮址)...
MAKE IT MODERN
LATEST REVIEWS
강남 귤, 강북 탱자
강남 귤, 강북 탱자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는 반북과 멸공을 위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고 민주주의를 유보해야 한다는 일종의 사이비 민주주의이다."
지수걸(근대사분과)
1. 교육과정 날치기 개악사건의 전말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8월...
PERFORMANCE TRAINING
「寺內正毅의 총독정치와 제27회 제국의회의 논의」
나의 학위논문
「寺內正毅의 총독정치와 제27회 제국의회의 논의 ― 制令權과 재조일본인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전영욱(근대사 분과)
역사학을 직업으로 삼기를 마음먹은 이후 최초의 성과물이다. 대학원에 들어오고부터 지금까지...
2017년 한국역사연구회 임원인사
2017년 한국역사연구회 임원인사
부회장 이익주 선생님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무슨 일을 하든 재미있게, 보람차게 해야 한다는 것이 평소 생각입니다. 부회장이니 당연히 회장님을 보좌하는 일을 합니다. 그러면서 우리...
나의 학위논문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와 東寧府 설치」
나의 학위논문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와 東寧府 설치」
(2015.2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강재구(중세 1분과)
필자의 석사학위논문은 1270년(원종 11)~1290년(충렬왕 16), 약 20년 간 고려의 북계일대에 존재했던 “동녕부”의 설치...
[서울이야기] 문안으로 들어오는 길 : 남대문로
문안으로 들어오는 길 : 남대문로
홍순민(중세사 2분과)
오늘날에는 '서울에 들어온다'는 뜻이 참 모호하다. 서울 주변 경기도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것이 '서울에 들어 들어오는' 것이겠지만, 그것은 어느 서울...
나의 학위논문: 옛 사람들은 사리장엄구를 어떻게 인식했을까?_이철호
웹진 '역사랑' 2021년 9월(통권 21호)
옛 사람들은 사리장엄구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구례 화엄사 동·서 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연구
이철호(중세1분과)
1. 들어가며
사리장엄구는 우리에게 매우 찬란하고 아름다우며 강력한 인상을 준다. 열반한...
HOLIDAY RECIPES
푸른역사 아카데미 [조선시대사] 강좌 개설
조선시대사-정치, 외교, 의학, 일상-
■ 강의개요
조선시대를 새롭게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한국역사연구회> 소속 학자들이 <<조선시대사>>를 펴낸 지가 1년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전 시기, 전 분야를 체계적으로 망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