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부흥론과 경제개발계획의 연속성
– 일시: 2016년 12월 3일 토요일 12:30~18:30
–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407호
– 주관: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분과 경제사연구반
– 후원: 한국연구재단
[개회사] 12:30~13:00
축사 :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개회사 : 한국역사연구회 연구위원장
[제1부] 외적 계기의 변화 양상과 경제개발 논의 사회: 이세영
① 제1발표(13:00~13:40) 1950년대 후반 미국의 대한원조정책의 변화와 유솜(USOM)의 등장
발표자 : 이현진(국사편찬위원회)
토론자 : 최상오(대한민국역사박물관)
② 제2발표(13:40~14:20) 5.16군사정부기 대한원조정책의 성격과 AID의 역할-울산공업지구 초기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발표자 : 권혁은(서울대학교)
토론자 : 이정은(고려대학교)
[중간휴식] 14:20~14:30
③ 제3발표(14:30~15:10) 장면정권의 경제구상과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자 : 정진아(건국대학교)
토론자 : 임송자(순천대학교)
④제4발표(15:10~15:50) 1950-60년대 전반 한국경제학계의 동향과 후진국경제개발론의 수용·전개
발표자 : 홍정완(연세대학교)
토론자 : 김두얼(명지대학교)
[중간휴식] 15:50~16:00
[제2부] 분야별 경제개발계획과 연속성의 문제 사회 : 박광명
⑤제5발표(16:00~16:40) 1950년대 후반 ‘조세개혁’과 간접세 중심 대중과세 체제의 수립
발표자 : 금보운(고려대학교)
토론자 : 신용옥(고려대학교)
⑥제6발표(16:40~17:20) 1950년대 말 전력산업의 경영부실과 전력3사 통합논의
발표자 : 정대훈(국사편찬위원회)
토론자 : 배석만(고려대학교)
⑦제7발표(17:20~18:00) 1950년대 후반 농업위기와 농업정책의 변화
발표자 : 김수향(서울대학교)
토론자 : 이경란(공동육아와 공동체연구)
[자유질의 및 토론] 18:00~18:30